정청래, 민주노총 찾아 "尹정권, 노동자 외면…李정부 다를 것"
"노동자, 李 정부의 지지 세력이자 당의 동반자"
"작업중지권 확대, 입법 과제…정년 연장도 노력"
"작업중지권 확대, 입법 과제…정년 연장도 노력"
입력 : 2025. 11. 06(목) 15:17

[나이스데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6일 "윤석열 정권 3년 동안 우리 노동계는 정말 어려움이 더 많았고, 또 거듭되는 산업 재해 속에서 노동자들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지켜달라는 외침이 정말 많았는데 항상 외면당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열린 '민주노총-민주당 정책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거리로 뛰쳐나온 노동자들을 강성 노조니, 귀족 노조니 매도하기도 했다"고 했다.
이어 정 대표는 "윤석열 정권에게 노동자란 한낱 기업의 이익을 위한 도구였을 뿐 국가 경제를 함께 이끌어가는 주역으로 인정하지 않지 않았나 그런 생각도 했다"며 "멸시와 통제, 감시와 억압이 윤석열 정권 노동 정책 그 자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는 좀 다를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지금까지 산재 없는 노동 현장을 계속 강조하고 국정의 주요 목표로 지금 잡고 있다"며 "민주당의 생각과 목표도 여러분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노동자, 노동조합은 이재명 정부의 가장 강력한 지지 세력이며 민주당의 영원한 동반자"라고 했다.
그러면서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민주노총의 목표이며 동시에 이재명 정부, 민주당의 목표"라며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일터 권리 보장을 위한 기본법 제정과 노동자 추정 제도 도입은 이미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돼 있기 때문에 앞으로 잘 처리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초기업 교섭을 활성화해서 단체협약의 효력을 동일 업종 내 노동자들이 함께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며 "(또) 노동자의 작업 중지권 확대는 노동자 스스로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입법 과제라고 생각한다. 한 명의 노동자라도 산재로 희생되는 일을 막아낼 수 있도록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정 대표는 "교원 공무원의 정치 기본권을 보장하는 일도 저 개인적으로는 공감하고 있다. 법정 정년 65세를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일 역시 이미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에도 상당히 반영돼 있는 만큼 오늘 귀한 말씀을 주시면 경청해서 여러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보탰다.
아울러 "내란 청산과 사회 대개혁의 목표는 우리 민주당이나 민주노총의 공통의 인식, 공통의 목표가 아닐까 생각한다"고도 언급했다.
이날 정책간담회에는 민주당에서 정 대표와 함께 한정애 정책위의장, 김현정·박홍배·안호영·이용우 의원 등이 함께했다.
한편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우리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다중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여당의 역할이 많이 필요하다"며 "정년 연장으로 노후 빈곤을 해소하고 또 청년들에겐 양질의 일자리를 늘려서 희망을 주는 정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양 위원장은 "더 이상 노동자들이 현장에서 죽지 않도록 입법에 최선을 다해주시길 바란다"며 "내란 세력 청산과 사회 대개혁이라는 광장의 요구를 실질적, 구체적으로 실현할 때라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뉴시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열린 '민주노총-민주당 정책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거리로 뛰쳐나온 노동자들을 강성 노조니, 귀족 노조니 매도하기도 했다"고 했다.
이어 정 대표는 "윤석열 정권에게 노동자란 한낱 기업의 이익을 위한 도구였을 뿐 국가 경제를 함께 이끌어가는 주역으로 인정하지 않지 않았나 그런 생각도 했다"며 "멸시와 통제, 감시와 억압이 윤석열 정권 노동 정책 그 자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는 좀 다를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지금까지 산재 없는 노동 현장을 계속 강조하고 국정의 주요 목표로 지금 잡고 있다"며 "민주당의 생각과 목표도 여러분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노동자, 노동조합은 이재명 정부의 가장 강력한 지지 세력이며 민주당의 영원한 동반자"라고 했다.
그러면서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민주노총의 목표이며 동시에 이재명 정부, 민주당의 목표"라며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일터 권리 보장을 위한 기본법 제정과 노동자 추정 제도 도입은 이미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돼 있기 때문에 앞으로 잘 처리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초기업 교섭을 활성화해서 단체협약의 효력을 동일 업종 내 노동자들이 함께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며 "(또) 노동자의 작업 중지권 확대는 노동자 스스로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입법 과제라고 생각한다. 한 명의 노동자라도 산재로 희생되는 일을 막아낼 수 있도록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정 대표는 "교원 공무원의 정치 기본권을 보장하는 일도 저 개인적으로는 공감하고 있다. 법정 정년 65세를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일 역시 이미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에도 상당히 반영돼 있는 만큼 오늘 귀한 말씀을 주시면 경청해서 여러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보탰다.
아울러 "내란 청산과 사회 대개혁의 목표는 우리 민주당이나 민주노총의 공통의 인식, 공통의 목표가 아닐까 생각한다"고도 언급했다.
이날 정책간담회에는 민주당에서 정 대표와 함께 한정애 정책위의장, 김현정·박홍배·안호영·이용우 의원 등이 함께했다.
한편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우리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다중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여당의 역할이 많이 필요하다"며 "정년 연장으로 노후 빈곤을 해소하고 또 청년들에겐 양질의 일자리를 늘려서 희망을 주는 정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양 위원장은 "더 이상 노동자들이 현장에서 죽지 않도록 입법에 최선을 다해주시길 바란다"며 "내란 세력 청산과 사회 대개혁이라는 광장의 요구를 실질적, 구체적으로 실현할 때라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