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수요 절반도 안 된다…'안전인력 부족' 지적도
올해 노인일자리 수요 충족률 46.4%
남인순 의원 "일자리 지속 확대해야"
안전인력 부족한 가운데 안전사고 ↑
소병훈 의원 "전면적 재정비 시급"
입력 : 2025. 10. 28(화) 10:55
[나이스데이] 올해 정부 지원 노인일자리가 100만명을 넘어섰으나 희망하는 고령자 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노인일자리 수요 및 노인일자리 제공 현황'을 보면 올해 예산상 일자리 창출 목표는 109만8000개로 처음으로 100만개를 넘어섰다.

하지만 노인일자리를 희망하는 고령자는 236만6000명으로, 노인일자리 수요 충족률은 46.4%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들의 전반적 만족도를 보면 작년 전체 응답자의 89.2%는 '만족'한다고 답했다. 2021년 만족도(72.8%)보다 크게 오른 것이다.

남인순 의원은 "노인일자리 사업에 대한 평가 결과 경제적 효과, 의료비 절감 효과, 사회적 관계적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내년 정부 예산안을 보면 노인일자리 창출 목표가 115만2000개로 올해보다 5만4000개가 증가할 전망이지만 일자리를 원하는 노인의 절반도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확대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노인일자리사업과 관련해 안전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노인일자리사업 사고는 2021년 2985건에서 작년 4036건으로 35% 증가했다.

최근 5년간 1157명의 부상자와 9명의 사망자가 나왔으며, 특히 전체의 3분의 1 이상인 5509건은 시니어클럽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원은 사업 확대, 참여자 고령화, 안전관리 인력 부족의 영향으로 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 1359개소 수행기관 운영을 위해 총 2639명의 안전담당인력이 필요하다는 게 개발원 계산이지만, 내년 정부 예산으로 확보된 인력은 613명에 불과하다.

소병훈 의원은 "2000명이 넘는 인력 공백이 해소되지 않으면 현장은 변하지 않는다"며 "고위험 사업단 집중관리, 안전등급제 조기 시행, 예산 확충 등 전면적 재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전국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나이스데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