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간병통합서비스 한다더니…실제 운영 3곳 중 1곳 그쳐
김선민 의원, 복지부 제출 자료 공개
의무인 공공기관들 중 7곳이 미참여
의무인 공공기관들 중 7곳이 미참여
입력 : 2025. 10. 29(수) 10:56

[나이스데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참여 병원의 병상 3곳 중 1곳만 통합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참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체 참여대상 병상 24만6456개 중 실제 통합서비스를 운영 중인 병상은 8만3079개로, 전체의 33.7%에 불과했다.
병상 참여율을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은 4만2071개 병상 가운데 9463개(22.5%)만 통합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종합병원은 9만5628개 병상 중 4만1886개(43.8%)가 운영 중이며, 병원급 의료기관은 10만8757개 병상 중 3만1730개(29.2%)만 참여하고 있다.
공공과 민간을 구분해보면 공공병원은 3만2239개 병상 중 1만672개(33.1%), 민간병원은 21만8808개 중 7만2407개(33.8%)로 양측 모두 3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의료법 시행규칙 제4조의2 제4항에 따르면 공공보건의료기관은 통합서비스의 참여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국립교통재활병원, 근로복지공단 정선병원, 정선의료재단군립병원, 전라남도강진의료원, 호남권역재활병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의료원 등 6개 기관은 통합서비스를 시행하지 않고 있었다.
2025년에는 인천광역시의료원 백령병원이 추가돼 미참여 공공병원은 총 7곳으로 늘어났다.
김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 개선 전문가 자문 제1차 회의 자료에 따르면 제도 시행 초기에는 연평균 60.2%의 병상 증가율을 보였으나 2020년 이후에는 9.7%로 급락하며 확산세가 크게 둔화됐다.
김 의원은 "복지부가 병동 단위 운영의 구조적 문제를 간과한 채 단순히 병상 수를 늘리는 데에만 몰두해 왔다"며 "공급자 중심의 논의로는 현장의 변화를 만들 수 없으며 제도의 불이익을 직접 경험하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국가가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시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참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체 참여대상 병상 24만6456개 중 실제 통합서비스를 운영 중인 병상은 8만3079개로, 전체의 33.7%에 불과했다.
병상 참여율을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은 4만2071개 병상 가운데 9463개(22.5%)만 통합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종합병원은 9만5628개 병상 중 4만1886개(43.8%)가 운영 중이며, 병원급 의료기관은 10만8757개 병상 중 3만1730개(29.2%)만 참여하고 있다.
공공과 민간을 구분해보면 공공병원은 3만2239개 병상 중 1만672개(33.1%), 민간병원은 21만8808개 중 7만2407개(33.8%)로 양측 모두 3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의료법 시행규칙 제4조의2 제4항에 따르면 공공보건의료기관은 통합서비스의 참여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국립교통재활병원, 근로복지공단 정선병원, 정선의료재단군립병원, 전라남도강진의료원, 호남권역재활병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의료원 등 6개 기관은 통합서비스를 시행하지 않고 있었다.
2025년에는 인천광역시의료원 백령병원이 추가돼 미참여 공공병원은 총 7곳으로 늘어났다.
김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 개선 전문가 자문 제1차 회의 자료에 따르면 제도 시행 초기에는 연평균 60.2%의 병상 증가율을 보였으나 2020년 이후에는 9.7%로 급락하며 확산세가 크게 둔화됐다.
김 의원은 "복지부가 병동 단위 운영의 구조적 문제를 간과한 채 단순히 병상 수를 늘리는 데에만 몰두해 왔다"며 "공급자 중심의 논의로는 현장의 변화를 만들 수 없으며 제도의 불이익을 직접 경험하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국가가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